분류 전체보기3348 설날의 유래(由來)와 풍속 잠은 달아나고 이번 설날에는 아이들에게 설날의 유래에 대한 말을 전해주고 싶어서 검색창을 뒤적이다가 좋은 뜻을 알았습니다. 이제부터 차근차근하게 모셔온 글 올려봅니다. @설날의 유래(由來) 설날이 언제부터 우리 민족이 명절로 지내게 되었는지 정확하게는 알 수는 없다 다만 역사적인 기록을 통해서 설날의 유래를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백제 고이왕5년(238) 정월에 천지신명께 제사를 지냈으며, 책계왕 2년(287) 정월에는 시조(始祖) 등명왕 사당에 참배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신라 때에도 정월2월과 정월 5일이 포함된 큰제사를 1년에 6번씩 지냈다고 하는데 이를 보아 이미 설날의 풍속이 생겼을 것으로 짐작하고 있고. 고려시대에는 설을 9대 명절의 하나로 즐겼으며 조선시대는 설날을 .. 2024. 2. 9. 설날 설날입니다 왜 설날이라도 하는지 아시나요? 묶은 해가 서서히 사라지고 새해가 돌아오니 설레는 날이라 그렇답니다. 모든 것이 새롭게 탄생합니다 새 달력에 생일날 동그라미 제삿날 동그라미 봉사 가는 날 동그라미 입학 졸업날 동그라미 절에 가는 날 동그라미 친구들 모임가는 날 동그라미 하나둘 동그라미를 그릴 때마다 설렘 가득 품어 안으면서요 기뻐요, 그리고 행복해요 고향길 오고 가는 길 예쁜 정 많이 싣고서요. 이웃님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사랑합니다. _()_ 2024. 2. 8. 도서관에서 만난 친구 도서관에서 조용히 다가온 觀音心 초면이지만 낯설지 않은 느낌 法燈明 自燈明 어느새 도반이라 칭한다 佛家에서 말하는 인연이라는 걸까 언제부턴가 잘 소통할 수 있는 도반하나 있었음 하는 바람이 컸던 나 甲辰年은 시작부터가 좋다 배움의 길목에서 배우고 또 배우면서 觀音心과 함께 함께 할 것 같다 法燈明 自燈明으로... 2024. 2. 8. 행복의 원리 행복의 원리는 간단하다 불만에 자기가 속지 않으면 된다. 어떤 불만으로 해서 자기를 학대하지 않는 다면 인생은 즐거운 것이다. _ 버트란트 럿셀 _ ===== 행운은 사람들이 멀고 높은 곳만 바라보는 버릇이 있기 때문에 정작 발길에 뒹굴고 있는 행운은 볼 줄 모른다. 오직 손 길이 닿지 않는 것만 추구하려 한다. _ 핀다로스 _ ♣ 뜻이 좋아 올려봅니다 즐거운 명절 준비해요. ♥♥ 2024. 2. 5. 이전 1 ··· 75 76 77 78 79 80 81 ··· 8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