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시방689

단풍잎에 쓰여 온 以聽得心 오늘 회사에서 잠시 쉬는 시간에 " 언니야! 언니야! 최주사님이 이걸 언니께 주래 " ~~ 하면서 달려온 둘순 아우님께 받아든 나뭇잎에는 정성들여 쓴 글씨 ' 이청득심 ' 이라는 글이 쓰여있었다. 사자성어로 대충 알아 먹구는 개구장이 최주사님이 이런면도 있었나 싶어서 고맙기두 하고 다시 보게되는데... 이청득심(以聽得心)이란? 듣는 것으로 마음을 얻는다 '란 뜻이 담긴 훌륭한 글이다 집에 귀가해서 저녁을 식구들이랑 대충 먹고는 이청득심의 유래와 좋은 글을 찾아보게 되었다. 그 중에 몇자 모셔와 올려보는데... 마음을 기울여 상대의 말을 들음으로써 상대의 마음을 얻고 상대와 동병상련하는 공동체가 되는 것! 말을 잘하는 것이 지식이 많은 사람이라면 말을 잘 듣는 것은 지혜로운 사람이라는 것! 결국 잘 듣는 .. 2021. 9. 1.
계영배(戒盈杯)의 매력 계영배(戒盈杯) 고대 중국에서 과욕을 경계하기 위하여 하늘에 정성을 들이며 비밀리에 만들었던 의기(義器)가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계영배(戒盈杯)라 한다 이 잔(계영배)은 잔이 물을 가득 채우려 해도 넘치지 않는다 잔의 70%를 술로 채우면 잔 중앙에 빈 기둥이 있어 그리로 넘쳐 아래로 떨어져 잔 받침에 고이게 되니 말이다. 계영배는 ' 인간이 끝없는 욕심을 경계해야 한다 ' 는 상징의 의미가 있다 공자가 제나라 환공의 사당을 찾았을 때 환공이 계영 배를 늘 곁에 두고 보면서 스스로 과욕을 경계하는 것을 보고, 공자도 이를 본 받아 항상 곁에 두고 자신을 가다듬으며 과욕과 지나침을 경계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도 조선후기에 대표적 실학자 규남 하백원(圭南 河百源)과 도공(陶工) 우명옥이 계영배를 만들었다고.. 2021. 8. 22.
생기있는 군자가 되라 (菜根譚) 학자요유단긍업적심사 (學者要有段兢業的心思) 우요유단소쇄적취미 (又要有段瀟酒的趣味) 약일미렴속청고 (若一味斂束淸苦) 시유추살무춘생 (是有秋殺無春生) 하이발육만물 (何以發育萬物) [해설] 학문하는 사람은 모름지기 일단 조심하는 마음을 가지되 또한 모름지기 시원스런 것을 지니지 않으면 안 된다. 만약 한가지로 단속하여 청렴결백하기만 한다면 이는 가을의 살기만 있고, 봄의 생기가 없음이니 어찌 만물을 기를 수 있겠는가! 2021. 8. 17.
가정을 위한 격언 ♣가정을 위한 격언♣ @ 건강한 가정은 첫째는 부부, 둘재는 부모, 셋째는 자식순으로 우선시 해야 한다. _ 불교사상_ @ 내가 부모에게 효도하면 자식이 나에게 효도한다. 내가 어버이에게 효도하지 않았는데 자식이 어찌 나에게 효도를 하겠는가! _강태공_ @ 훌륭한 부모의 슬하에 있으면 사랑이 넘치는 체험을 얻을 수 있다. 그것은 먼 훗날 노년이 되더라도 없어지지 않는다. _루드비히 베토벤_ @ 부모를 공경하기 쉬우나 사랑하는 효행은 어렵다. _장자_ @ 우리가 부모가 되었을때 비로소 부모가 베푸는 사랑의 고마움이 어떤 것인지 절실히 깨달을 수 있다. _헨리워드 비처_ @ 자식이 효도하면 어버이는 즐겁고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이루어 진다. _ 명심보감_ @ 천하에 모든 물건중에는 내 몸 보다 더 소중.. 2021.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