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시방687

인디언들의 명언 1, 자신의 것이 아닌 것을 탐하지 말라, 그것이 사람이건 공동체 건 버려진 것이든, 또 다른 그 무엇이든 그대의 땀과 노력이 스며들지 않은 것은, 그대의 것이 아니니라. 2, 다른 사람을 비난하거나 욕하지 말라, 그대가 우주를 향해 내 보낸 부정적 에너지는 그 몇 곱절로 그대에게 다시 되돌아오느니라. 3, 인간은 실수하게 마련이며, 용서받지 못할 그 어떠한 실수도 존재하지 않느니라. 4, 부정적인 생각은 결국 육체의 질병을 일으키고 마음과 영혼에 상처를 주니 항상 긍정적이고 밝은 면을 보는 습관을 길러라. 5, 자연은 우리를 위해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소중한 부분이며 지구 공동체의 한 가족이며 동반자이니라. 6, 언제 어디서나 오직 진실하게 행동하라 정직은 생명을 가진 모든 존재가 거쳐야 할 시험이.. 2021. 9. 8.
연꽃의 기도 연꽃의 기도 / 이해인 겸손으로 내려앉아 고요히 위로 오르며 피어나게 하소서. 신령한 물 위에서 문을 닫고 여는 법을 알게 하소서. 언제라도 자비심 잃지 않고 온 세상을 끌어안는 둥근 빛이 되게 하소서. 죽음을 넘어서는 신비로 온 우주에 향기를 퍼트리는 넓은 빛 고운 빛이 되게 하소서. ♣ 2021. 9. 5.
단풍잎에 쓰여 온 以聽得心 오늘 회사에서 잠시 쉬는 시간에 " 언니야! 언니야! 최주사님이 이걸 언니께 주래 " ~~ 하면서 달려온 둘순 아우님께 받아든 나뭇잎에는 정성들여 쓴 글씨 ' 이청득심 ' 이라는 글이 쓰여있었다. 사자성어로 대충 알아 먹구는 개구장이 최주사님이 이런면도 있었나 싶어서 고맙기두 하고 다시 보게되는데... 이청득심(以聽得心)이란? 듣는 것으로 마음을 얻는다 '란 뜻이 담긴 훌륭한 글이다 집에 귀가해서 저녁을 식구들이랑 대충 먹고는 이청득심의 유래와 좋은 글을 찾아보게 되었다. 그 중에 몇자 모셔와 올려보는데... 마음을 기울여 상대의 말을 들음으로써 상대의 마음을 얻고 상대와 동병상련하는 공동체가 되는 것! 말을 잘하는 것이 지식이 많은 사람이라면 말을 잘 듣는 것은 지혜로운 사람이라는 것! 결국 잘 듣는 .. 2021. 9. 1.
계영배(戒盈杯)의 매력 계영배(戒盈杯) 고대 중국에서 과욕을 경계하기 위하여 하늘에 정성을 들이며 비밀리에 만들었던 의기(義器)가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계영배(戒盈杯)라 한다 이 잔(계영배)은 잔이 물을 가득 채우려 해도 넘치지 않는다 잔의 70%를 술로 채우면 잔 중앙에 빈 기둥이 있어 그리로 넘쳐 아래로 떨어져 잔 받침에 고이게 되니 말이다. 계영배는 ' 인간이 끝없는 욕심을 경계해야 한다 ' 는 상징의 의미가 있다 공자가 제나라 환공의 사당을 찾았을 때 환공이 계영 배를 늘 곁에 두고 보면서 스스로 과욕을 경계하는 것을 보고, 공자도 이를 본 받아 항상 곁에 두고 자신을 가다듬으며 과욕과 지나침을 경계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도 조선후기에 대표적 실학자 규남 하백원(圭南 河百源)과 도공(陶工) 우명옥이 계영배를 만들었다고.. 2021. 8.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