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시

[스크랩] 나는 누구인가 - 라마나 마하리쉬

by 慧明花 2007. 2. 10.
 
"나"는 누구인가?
( Who Am I ? )
 

 

by Sri Ramana Maharshi
 
 
"나"는 누구인가?

 

뼈와 살로 이루어진 이 몸은 내가 아니다.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등의 다섯 가지 감각기관은 내가 아니다.

말하고, 움직이고, 붙잡고, 배설하고, 생식하는 다섯 가지 운동기관은 내가 아니다.

호흡등의 다섯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프라나(Prana)등의 다섯 가지 기(氣)는 내가 아니다.

생각하는 마음도 내가 아니다.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무의식도 내가 아니다.

 

이 모든 것이 내가 아니라면 "나"는 누구인가?

 

이 모든 것들을 "내가 아니다"라고 부정하고 나면

그것들을 지켜보는 깨달음 그 자체(awareness)만이 남는다.

그것이 바로 "나"다.

 

 

                                                                                                                                                                                            
 
 
The Teaching of Bhagavan Sri Ramana Maharshi
 Translation by
Dr. T. M. P. MAHADEVAN
From the original Tamil
 
Who Am I ? (Nan Yar?)

 

나는 누구입니까?

 

As all living desire to be happy always, without misery,
as in the case of everyone there is observed supreme love for one's self,
and as happiness alone is the cause for love,
in order to gain that happiness which is one's nature
and which is experienced in the state of deep sleep
where there is no mind, one should know one's self.
For that, the path of knowledge,
the inquiry of the form "Who am I?", is the principal means.

 

모든 살아있는 존재들은 항상 불행 없이 행복하기를 바라고,

개개의 존재들은 자기 자신에 대한 지고의 사랑을 가지고 있는데,

행복하기를 바라는 것이야말로 그들이 자신을 사랑하는 이유(동기)이므로,

마음이 사라진 깊은 잠의 상태에서 체험되는 자신의 성품인

그 행복을 얻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자기 자신을 알려고 한다면, 지혜(知慧)의 길,

즉 '나는 누구인가?' 하는 물음의 형태가 주된 수행 방법이 되어야 합니다.

 

 

1.

Who am I ?

나는 누구입니까?

 

The gross body
which is composed of the seven humors (dhatus), I am not;
일곱 가지 기질(구성요소,dhatus)들로 이루어진
이 조잡한 몸(the gross body)은 내가 아닙니다.

 

the five cognitive sense organs,
viz. the senses of hearing, touch, sight, taste, and smell,
which apprehend their respective objects,
viz. sound, touch, colour, taste, and odor, I am not;
소리와 촉감과 색채와 맛과 향기 등으로 관련 사물들을 인식하여 
소리를 듣고, 촉감을 느끼고, 색채를 보고, 맛을 느끼고,
냄새를 맡는 다섯 가지 인지(認知) 감각기관은 내가 아닙니다.

 

the five cognitive sense-organs,
viz. the organs of speech, locomotion, grasping, excretion, and procreation,
which have as their respective functions
speaking, moving, grasping, excreting, and enjoying, I am not;
말하고 움직이고 붙잡고 배설하고 즐기는 개개의 기능들에 응하여
말을 하고, (몸을) 이동하고, (사물을) 붙잡고, 배설하고, 생식(生殖)하는
다섯 가지 운동 감각기관도 내가 아닙니다.

 

the five vital airs, prana, etc.,
which perform respectively the five functions of in-breathing, etc., I am not;
호흡 등의 다섯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프라나(prana)등의
다섯 가지 기운(氣,vital airs)들도 내가 아닙니다.

 

even the mind which thinks, I am not; the nescience too,
which is endowed only with the residual impressions of objects,
and in which there are no objects and no functioning's, I am not.
심지어는 생각한다는 의식적인 마음까지도 내가 아니며, 오직 어떤 대상들에 대한
잔류 인상(residual impressions, 기억의 형태로 마음에 남아 있는 인상)만
지니고 있을 뿐, 거기에 대상들도 없고 그 대상들에 대한 상관 관계도 없는,
무의식(無記,nescience, 모든 인식과 감각이 상실된 의식 상태) 또한 내가 아닙니다.

 

역주)
구성요소(dhatus) : 뼈(骨,bone), 살(肉,flesh), 피(血, blood)와
정(精,semem) 지방(脂,fat) 골수(髓,marrow) 림프(乳鳥,chyle)등 7가지를 말한다.

프라나(prana)외의 다른 4가지 기(氣) : apana, byana, samana, udana로
각각 배설(생식), 순환, 소화 및 정신작용을 담당한다.

 

 

2.

If I am none of these, then who am I?
만일 그런 것이 다 내가 아니라면 나는 누구입니까?

 

After negating all of the above-mentioned as 'not this',
'not this', that Awareness which alone remains - that I am.
앞에서 언급한 모든 것들을 '이것도 아니다', '저것도 아니다'라고
부정한 뒤에 홀로 남는, '나는 존재한다(I am)'라고 하는 자각(自覺)입니다.

 

 

3.

What is the nature of Awareness?
그 자각(自覺)의 본질은 무엇입니까?

 

The nature of Awareness is existence-consciousness-bliss.
자각(自覺)의 본질은 존재-의식-더 없는 행복입니다.

 

 

4.

When will the realization of the Self be gained?
언제 진정한 자신의 인식이 이루어집니까?

 

When the world which is what-is-seen has been removed,
there will be realization of the Self which is the seer.
보이는 대상(what-is-seen)인 이 현상 세계가 사라졌을 때,
보는 자(the seer)인 진정한 자신을 인식할 수 있게 됩니다.

 

 

5.

Will there not be realization of the Self
even while the world is there (taken as real)?
현상세계를 (실재라고 여겨) 그 곳에 머물러 있는 동안에는
진정한 자아를 인식할 수 없습니까?

 

There will not be.
현상세계가 실재라고 여기는 한 진정한 자아를 인식할 수 없습니다.

 

 

6.

Why?
왜 그러합니까?

 

The seer and the object seen are like the rope and the snake.
Just as the knowledge of the rope which is the substrate will not arise
unless the false knowledge of the illusory serpent goes,
so the realization of the Self which is the substrate will not be gained
unless the belief that the world is real is removed.
보는 자(진정한 자아)와 보이는 대상(현상계)은 밧줄과 뱀의 경우와 같습니다.
실재하지 않는 뱀에 대한 그릇된 인식이 사라지지 않는 한
실체인 밧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생길 수 없듯이,
현상계가 실재한다는 믿음이 사라지지 않는 한
실체인 진정한 자아는 깨달을 수 없습니다.

 

 

7.

When will the world which is the object seen be removed?
보이는 대상으로서의 현상계는 언제 사라지게 됩니까?

 

When the mind, which is cause of all cognition's and all actions,
becomes quiescent, the world will disappear.
모든 인식과 모든 행위의 원인(主體)인 마음이 침묵하게 되면
현상세계는 사라지게 됩니다.

 

 

8.

What is the nature of the mind?
그렇다면 마음의 본질은 무엇입니까?

 

What is called 'mind' is a wondrous power residing in the Self.
It causes all thoughts to arise.
Apart from thoughts, there is no such thing as mind.
Therefore, thought is the nature of mind.
마음이라고 하는 것은
진정한 자아 안에 자리잡고 있는 하나의 불가사의한 힘입니다. 
그것이 모든 생각들을 일어나게 합니다.
그리고 생각과 별개로 존재하는 마음 같은 것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생각이 곧 마음의 본질입니다.

 

Apart from thoughts, there is no independent entity called the world.
In deep sleep there are no thoughts, and there is no world.
In the states of waking and dream, there are thoughts, and there is a world also.
Just as the spider emits the thread (of the web) out of itself
and again withdraws it into itself,
likewise the mind projects the world out of itself
and again resolves it into itself.
When the mind comes out of the Self, the world appears.
Therefore, when the world appears (to be real), the Self does not appear;
and when the Self appears (shines) the world does not appear.

생각들과 별개인 독립된 실체로서의 현상계라고 부르는 것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깊은 잠 속에서는 아무런 생각도 없고, 따라서 현상계도 없습니다.
눈을 뜨고 있을 때와 꿈속에서는 생각들이 있고 그래서 현상계도 있습니다. 
그것은 마치 거미가 몸밖으로 거미줄을 내었다가 다시 몸 안으로 거두어들이듯,
마음 역시 바깥으로 현상계를 투사했다가 다시 그것을 자기 속으로 흡수합니다.
마음이 진정한 자아로부터 벗어났을 때 현상계가 투사되어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현상계가 나타날 때 (실재하는 것으로 보일 때)는 진정한 자아가 나타나지 않고,

진정한 자아가 나타날 때(빛날 때)는 현상계가 나타나지 않는 것입니다.

 

When one persistently inquires into the nature of the mind,
the mind will end leaving the Self (as the residue).
What is referred to as the Self is the Atman.
The mind always exists only in dependence on something gross;
it cannot stay alone.
It is the mind that is called the subtle body or the soul (jiva).

우리가 마음의 본질을 끈질기게 탐구해 들어가면
마음은 (잔류물처럼) 진정한 자아만을 남겨놓고 소멸됩니다.
여기서 남는 진정한 자아라고 하는 것은 아트만(Atman)입니다.
마음은 항상 무엇인가 조잡한 것에 대한 의존 속에서만 존재할 수 있으며
홀로 존재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우리가 미묘한 본체 또는 영혼이라 부르는 그것이 마음인 것입니다.

 

 

9.

What is the path of inquiry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mind?
마음의 본질을 알기 위한 탐구의 길은 어떤 것입니까?

 

That which rises as 'I' in this body is the mind.
If one inquires as to where in the body the thought 'I' rises first,
one would discover that it rises in the heart.
That is the place of the mind's origin.
Even if one thinks constantly 'I' 'I', one will be led to that place.
이 육체 안에서 일어나는 '나'라고 하는 것이 마음입니다.
먼저 '나'라고 하는 이 생각이 몸 안의 어디서 일어나는지를 탐구한다면,
그것이 심장 안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그 곳이 마음의 발단이 되는 장소인 것입니다.
만약 우리가 끊임없이 '나', '나'를 생각하기만 한다면
우리는 그곳으로 인도될 것입니다.

 

Of all the thoughts
that arise in after the appearance of the first personal pronoun
that the second and third personal pronouns appear;
without the first personal pronoun there will not be the second and third.

마음 속에 일어나는 모든 생각들 중에서 '나'라는 생각이 첫 번째 생각입니다.
그리고 다른 생각들은 이 '나'라는 생각이 일어난 뒤에야 일어납니다.
1인칭 대명사가 나타난 뒤에야 2인칭, 3인칭 대명사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1인칭 대명사 없이는 2인칭, 3인칭 대명사가 있을 수 없습니다.

 

 

10.

How will the mind become quiescent?
어떻게 하면 마음을 고요하게 할 수 있습니까?

 

By the inquiry 'Who am I?'.
The thought 'who am I?' will destroy all other thoughts,
and like the stick used for stirring the burning pyre,
it will itself in the end get destroyed.
Then, there will arise Self-realization.

'나는 누구인가?'라는 탐구에 의해서입니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생각은
화장터의 장작불을 쑤실 때 사용하는 막대기처럼
다른 모든 생각들을 소멸시킨 뒤에, 마지막에는 그 자체도 소멸됩니다.
그런 다음에야 그 자리에서 진정한 자아 인식이 일어납니다.

 

 

11.

What is the means for constantly holding on to the thought 'Who am I?'.
끊임없이 '나는 누구인가?'라는 생각을 붙잡는다는 것은 어떤 의미입니까?

 

When other thoughts arise, one should not pursue them, but should inquire :
'To whom do they arise?' It does not matter how many thoughts arise.
As each thought arises, one should inquire with diligence,
"To whom has this thought arisen?".

다른 생각이 일어나면 우리는 그 생각들을 따라가지 말고,
오직 '이 생각이 누구로부터 일어났는가?'하고 물어야 합니다.
아무리 많은 생각들이 일어난다 하더라도 상관없습니다.
하나 하나의 생각이 일어날 때마다
'이 생각이 누구로부터 일어났는가?'하고 꾸준히 물어야 합니다.
 

 

The answer that would emerge would be "To me".
Thereupon if one inquires "Who am I?", the mind will go back to its source;
and the thought that arose will become quiescent.
With repeated practice in this manner,
the mind will develop the skill to stay in its source.

그 물음의 답은 "나에게서"일 것입니다.
그러면 다시 그것에 더하여 '나는 누구인가?'하고 탐구해 들어간다면,
마음은 자신의 근원으로 돌아가 일어났던 생각들이 가라앉게 될 것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계속 반복해서 수행해 나가면,
마음은 자신의 근원에 머무르는 기술을 스스로 익히게 됩니다.

 

When the mind that is subtle goes out through the brain
and the sense-organs, the gross names and forms appear;
when it stays in the heart, the names and forms disappear.
Not letting the mind go out,
but retaining it in the Heart is what is called "inwardness" (antar-mukha).
Letting the mind go out of the Heart is known as "externalisation" (bahir-mukha).
Thus, when the mind stays in the Heart,
the 'I' which is the source of all thoughts will go,
and the Self which ever exists will shine.
Whatever one does, one should do without the egoity "I".
If one acts in that way, all will appear as of the nature of Siva (God).

이 미묘한 마음이라는 것이 두뇌와 감각 기관을 통해 밖으로 나갈 때,
조잡한 이름들과 형상들이 나타납니다.
그러나 마음이 심장 안에 머무르면, 이름들과 형상들은 사라집니다.
마음을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고 심장 안에 붙들어 두는 것을
'안으로 향하기(antar-mukha)' 라고 합니다.
마음을 심장 밖으로 나가게 하는 것을 '밖으로 향하기(bahir-mukha)' 라고 합니다.
이런 식으로 마음이 심장 안에 머무르게 한다면,
모든 생각들의 원천인 '나'가 사라지고
항상 존재하는 진정한 자아가 빛나게 될 것입니다.
그 무엇을 하든, 우리는 '에고'라는 작은 자아 없이 그것을 해야 합니다. 
만일 우리가 이런 식으로 행동한다면,
모든 것이 신(Siva)의 성품으로 그 모습을 드러낼 것입니다.

 

 

12.

Are there no other means for making the mind quiescent?

마음을 고요하게 하는 다른 어떤 수단은 없습니까?

 

Other than inquiry, there are no adequate means.
If through other means it is sought to control the mind,
the mind will appear to be controlled, but will again go forth.
Through the control of breath also. the mind will become quiescent;
but it will be quiescent only so long as the breath remains controlled,
and when the breath resumes the mind also will again start moving
and will wander as impelled by residual impressions.

마음을 탐구하는 것 외에는 다른 마땅한 방법이 없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마음을 다스리려고 해보면,
마음이 다스려진 듯하다가도 다시 일어납니다.
호흡의 제어를 통해서도 마음이 가라앉지만,
그것은 호흡이 제어되는 동안만 그러할 뿐입니다.
호흡을 되돌려 놓으면 마음도 다시 움직이기 시작하여,
잔류 인상들이 이끄는 대로 이리저리 헤매게 됩니다.

 

The source is the same for both mind and breath.
Thoughts, indeed, is the nature of the mind.
The thought "I" is the first though of the mind; and that is egoity.
It is from that whence egoity originates that breath also originates.
Therefore, when the mind becomes quiescent, the breath is controlled,
and when the breath is controlled the mind becomes quiescent.

마음과 호흡은 근원이 같습니다.
사실 마음의 본질은 생각입니다.
그리고 '나'라는 생각이 마음이 일으키는 최초의 생각인데,
이것이 에고라는 작은 자아입니다.
에고라는 작은 자아(自我)가 시작되는 바로 그 지점에서 호흡도 시작됩니다.
따라서 마음이 가라앉으면 호흡이 제어되고,
호흡이 제어되면 마음도 가라앉는 것입니다.

 

But in deep sleep, although the mind becomes quiescent, the breath does not stop.
This is because of will of God, so that the body may be preserved
and other people may not be under the impression that it is dead.
In the state of waking and in samadhi,
when the mind becomes quiescent the breath is controlled.
Breath is the gross form of mind.
Till the time of death, the mind keeps breath in the body;
and when the body dies the mind takes the breath along with it.
Therefore, the exercise of breath-control is only an aid
for rendering the mind quiescent (manonigraha);
it will not gestroy the mind (manonasa).

하지만 깊은 잠이 들었을 때도 마음은 가라앉지만 호흡은 멈추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때에도 육체가 유지되게 하고, 다른 사람들이 그 육체가 죽었다고
오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신의 섭리에 따른 것입니다.
깨어있는 상태와 삼매 상태에서 마음을 가라앉히면 호흡이 제어됩니다.
호흡은 조잡한 형태의 마음입니다.
마음은 죽음의 순간까지 육체 안에서 호흡을 유지하다가,
육체가 죽으면 떠나면서 호흡을 가지고 갑니다.
따라서 호흡 제어(breath-control)의 수련은
단지 마음을 가라앉히는 방편일 뿐, 마음을 사라지게 하지는 못합니다.

 

Like the practice of breath-control, meditation on the forms of God,
repetition of mantras, restriction on food, etc.,
are but aids for rendering the mind quiescent.

호흡 제어의 수행과 마찬가지로, 신의 형상에 대한 명상이나 주문의 암송,
음식의 절제 등은 모두 마음을 가라앉히기 위한 방편일 뿐입니다.

 

Through meditation on the forms of God and through repetition of mantras,
the mind becomes one-pointed. The mind will always be wandering.
Just as when a chain is given to an elephant to hold in its trunk
it will go along grasping the chain and nothing else,
so also when the mind is occupied with a name or form it will grasp that alone.

신의 형상을 명상하거나 주문을 암송함으로써 마음은 일념에 집중됩니다.
우리의 마음이란 항상 헤매기 마련입니다.
코끼리의 코에 사슬을 하나 쥐어 주면
그것을 코로 집느라고 코끼리가 딴 짓을 하지 않듯이,
마음도 하나의 이름이나 형상에 몰두하면 그것 하나만 붙들게 됩니다.

 

When the mind expands in the form of countless thoughts,
each thought becomes weak;
but as thoughts get resolved the mind becomes one-pointed and strong;
for such a mind Self-inquiry will become easy.
Of all the restrictive rules,
that relating to the taking of sattvic food in moderate quantities is best;
by observing this rule, the sattvic quality of mind will increase,
and that will be helpful to Self-inquiry.

마음이 무수한 생각들로 확산되면 하나 하나의 생각은 그 힘이 약해지지만,
생각들이 뭉치면 마음은 일념이 되어 강해집니다.
이러한 마음이 되면 자기 탐구가 쉬워집니다.
절제하는 규칙들(restrictive rules) 중에서는,
순수한 식품을 적당량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입니다.
이 규칙을 지키면 미음의 순수성이 증가되며,
그것이 자기탐구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13.

The residual impressions (thoughts) of objects appear
wending like the waves of an ocean. When will all of them get destroyed?

대상들에 대한 잔류 인상(생각)들이 마치 바다의 파도처럼 끝없이 일어납니다.
이 모든 생각들이 언제쯤이나 없어지겠습니까?

 

As the meditation on the Self rises higher and higher,
the thoughts will get destroyed.

진정한 나에 대한 명상이 깊고 깊어짐에 따라
그런 생각들도 소멸되어 갈 것입니다.

 

 

14.

Is it possible for the residual impressions of objects
that come from beginningless time, as it were, to be resolved,
and for one to remain as pure Self?

말하자면, 시작도 없는 옛적부터(無始以來) 계속되어 온,
이 대상에 대한 잔류인상들이 모두 해소되어
우리가 순수한 진정한 자아로 남는다는 것이 과연 가능하겠습니까?

 

Without yielding to the doubt "Is it possible, or not?",
one should persistently hold on to the meditation on the Self.
Even if one be a great sinner, one should not worry and weep
"O! I am a sinner, how can I be saved?",
one should completely renounce the though "I am a sinner",
and concentrate keenly on meditation on the Self;
then, one would surely succeed.

'그것이 가능할 것일까, 가능하지 않는 것일까'를 따지지 말고
진정한 자아에 대한 명상을 끈덕지게 밀고 나아가야 합니다.
설혹 큰 죄를 지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아, 나는 죄인이다. 이런 내가 어떻게 구원을 받을 수 있겠는가?'하면서
걱정하고 비통해 하면 안됩니다.
'나는 죄인이다'라고 하는 생각을 완전히 놓아버리고
진정한 자아에 대한 명상에 일념으로 집중해야 합니다.
그러면 반드시 성공할 것입니다.

 

There are not two minds - one good and the other evil;
the mind is only one.
It is the residual impressions that are of two kinds
- auspicious and inauspicious.
When the mind is under the influence of auspicious impressions
it is called good;
and when it is under the influence of inauspicious impressions
it is regarded as evil.

선한 마음과 악한 마음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마음은 오직 하나입니다.
두 가지로 나뉘어지는 것은 잔류인상들입니다.
즉, 좋은 인상들과 나쁜 인상들이 그것입니다.
마음이 좋은 인상들의 영향 하에 있는 때,
그것을 일컬어 선(善)이라 부르고,
마음이 나쁜 인상들의 영향 하에 있을 때,
그것은 악(惡)이라고 여겨지는 것입니다.

 

The mind should not be allowed to wander towards wordly objects
and what concerns other people.
However bad other people may be, one should bear no hatred for them.
Both desire and hatred should be eschewed.
All that one gives to others one gives to one's self.
If this truth is understood who will not give to others?
When one's self arises all arises;
when one's self becomes quiescent all becomes quiescent.
To the extent we behave with humility, to that extent there will result good.
If the mind is rendered quiescent, one may live anywhere.

마음이 세속적인 대상들(wordly objects)이나
세상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그런 문제에 쏠리게 해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아무리 나쁘다 해도 그들에게 증오심을 품어서는 안됩니다.
(세속적인) 욕망과 증오심은 둘 다 피해야 하는 것입니다.
자기가 남들에게 주는 것은 모두 자기 자신에게 주는 것입니다.
만일 이 진리를 이해한다면 누가 남에게 베풀지 않겠습니까?
자신의 작은 자아인 '나'라는 생각이 (one's self)가 일어나면
모든 것이 일어나고, 자아가 고요해지면 모든 것이 가라앉습니다.
우리가 자신을 낮추면 낮출수록 점점 좋은 결과가 나올 것입니다.
마음이 고요해져서 안정되면 우리는 그 어디에서도 살 수 있습니다.

 


15.

How long should inquiry be practised?

자아를 탐구하기 위한 수행은 얼마나 오랫동안 해야하는지요?

 

As long as there are impressions of objects in the mind,
so long the inquiry "Who am I?" is required.
As thoughts arise they should be destroyed then
and there in the very place of their origin, through inquiry.
If one resorts to contemplation of the Self unintermittently,
until the Self is gained, that alone would do.
As long as there are enemies within the fortress,
they will continue to sally forth;
if they are destroyed as they emerge,
the fortress will fall into our hands.

마음 속에 대상들에 대한 인상들이 남아있는 한,
'나는 누구인가?'하는 탐구가 필요합니다.
생각들이 일어나면 바로 그 자리에서 그것들을 소멸시켜야 합니다.
진정한 자아를 깨달을 때까지
끊임없이 진정한 자아에 마음을 집중해 나아간다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요새 안에 적이 남아 있는 한 그들은 계속 반격해 오겠지만,
그들이 나타나는 족족 없애버린다면
요새는 결국 우리 수중에 떨어질 것입니다.

 

 

16.

What is the nature of the Self?

'진정한 나'의 본질은 무엇입니까?

 

What exists in truth is the Self alone.
The world, the individual soul, and God are appearance in it.
like silver in mother-of-pearl,
these three appear at the same time, and disappear at the same time,
The Self is that where there is absolutely no "I" thought.
That is called "Silence".
The Self itself is the world; the Self is "I";
the Self itself is God; all is Siva, the Self.

참으로 실재하는 것은 '진정한 나'뿐입니다.
현상계(세상), 개인적인 영혼, 그리고 신(神) 등은,
마치 진주조개 모체 속의 은빛 광채와 같이,
'진정한 나' 안에서 나타나는 겉모습들입니다.
이 셋은 동시에 나타났다가 동시에 사라집니다.
'진정한 나'는 나라는 생각이 전혀 없는 바로 그곳입니다.
그것을 '신성한 침묵'이라고 합니다.
'진정한 나' 자체가 현상계이고, 진정한 나 자체가 나이며,
'진정한 나' 자체가 신입니다.
일체가 '창조와 파괴의 현상인 시바(Siva)' 이고, '진정한 나'인 것입니다.

 

 

17.

Is not everything the work of God?

세상 만물은 신의 작품이 아닌가요?

 

Without desire, resolve, or effort, the sun rises;
and in its mere presence, the sun-stone emits fire,
the lotus blooms, water evaporates;
people perform their various functions and then rest.
Just as in the presence of the magnet the needle moves,
it is by virtue of the mere presence of God
that the souls governed by the three (cosmic) functions
or the fivefold divine activity perform their actions and then rest,
in accordance with their respective karmas.

아무런 욕만도 의지도 노력도 없이 태양은 떠오르는데,
단지 태양이 떠 있기만 해도, 어떤 돌은 열기를 뿜어내고,
연꽃은 꽃을 피우며, 물은 증발하고, 사람들은 제각기 할 일들을 하며,
그런 다음에는 휴식합니다.
그것은 마치 자석 앞에서는 바늘이 자석을 따라 움직이는 것 같이,
개인적인 영혼들은 세 가지 (우주적) 작용
또는 다섯 겹의 신성한 신의 활동에 의해 다스림을 받아
그들 각자의 업에 따라 자기의 행위를 하고 휴식합니다.

 

역주)
세 가지 우주적 작용이란 신에 의한 우주의 창조, 유지, 파괴를 말하며,
다섯 겹의 신의 활동이란 이 세 가지에
신에 의한 은총의 숨김과 드러냄을 합해서 하는 말이다.

 

God has no resolve; no karma attaches itself to Him.
That is like worldly actions not affecting the sun,
or like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other four elements
not affecting all pervading space.

신은 어떠한 결정의 의지(resolve)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아무런 업도 그에게는 붙지 않습니다.
이것은 세상 만물들의 활동이 태양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과 같고,
다른 4대 원소들(地水火風)의 장점들과 단점들이
모든 것에 가득 차 있는 공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과 같습니다.

 

 

18.

Of the devotees, who is the greatest?

어떤 사람이 가장 훌륭하게 헌신하는 사람입니까?

 

He who gives himself up to the Self that is God is most excellent devotee.
Giving one's self up to God means remaining constantly in the Self
without giving room for the rise of any thoughts other than that of the Self.
Whatever burdens are thrown on God, He bears them.
Since the supreme power of God makes all things move,
why should we, without submitting ourselves to it,
constantly worry ourselves with thoughts
as to what should be done and how,

and what should not be done and how not?
We know that the train carries all loads, so after getting on it
why should we carry our small luggage on our head to our discomfort,
instead of putting it down in the train and feeling at ease?

신(神)인 '진정한 나'에  자기 자신을 완전히 내맡기는 사람이 가장 훌륭하게 헌신하는 사람입니다.
신에게 자기 자신을 맡긴다는 것은,'진정한 나'에 대한 생각 외에는 어떤 생각도 일어날 틈을 주지 않고
'진정한 나' 안에 끊임없이 머무른다는 뜻입니다.
신께 그 어떤 짐을 맡겨도 신은 그 짐을 져 줍니다.
신의 지고하신 힘이 일체를 움직이게 하고 있는데,
왜 우리는 우리 자신을 그 힘에 맡기지 못하고,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무엇을 어떻게 하지 말아야 할 지에 대한 온갖 생각들로 고민해야 합니까?
우리가 기차를 타면 기차가 모든 짐을 다 운반해준다는 것을 압니다.
그런데 왜 우리는 기차를 타고서도 그 짐을 기차 안에 내려놓고
편안히 쉬지 않고 우리의 작은 짐을 머리에 불편하게 이고 있어야 합니까?

 

 

19.

What is non-attachment?

어떤 것이 집착하지 않는 것입니까?

 

As thoughts arise, destroying them utterly
without any residue in the very place of their origin is non-attachment.
Just as the pearl-diver ties a stone to his waist,
sinks to the bottom of the sea and there takes the pearls,
so each one of us should be endowed with non-attachment,
dive within oneself and obtain the Self-Pearl.

생각이 일어날 때, 바로 그 자리에서
그것을 아무런 찌꺼기(미련) 없이 완전히 소멸시키는 것이 무집착입니다.
진주를 캐는 사람이 허리에 돌을 달고 바다 밑바닥으로 내려가
그곳에서 진주를 캐내듯이,
우리들 각자도 무집착을 마음에 부여하고 우리 자신의 내면으로 뛰어들어
'진정한 나'라는 참다운 진주를 캐어내야 합니다.

 

 

20.

Is it not possible for God and the Guru to effect the release of a soul?

신이나 스승이 개인의 영혼을 도와 자유롭게 해줄 수는 없습니까?

 

God and the Guru will only show the way to release;
they will not by themselves take the soul to the state of release.
In truth, God and Guru are not different.
Just as the prey which has fallen into the jaws of a tiger has no escape,
so those who have come within the ambit of the Guru's gracious look
will be saved by the Guru and will not get lost;
yet, each one should by his own effort pursue the path
shown by God or Guru and gain release.
One can know oneself only with one's own eye of knowledge,
and not with somebody else's.
Does he who is Rama require the help of a mirror to know that he is Rama?

신과 스승은 벗어나는 길을 보여줄 수 있을 뿐이지,
그 분들 자신이 직접 개인에게 해탈의 상태를 가져다 주지는 못합니다.
사실, 신과 스승은 다르지 않습니다.
호랑이의 입 속에 들어간 먹이가 도망칠 수 없듯이,
스승의 자비로운 눈길의 영역 안에 들어온 사람들은
스승에 의해 구원받을 것이며 결코 길을 잃고 헤매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은 각자 자신의 노력으로
신이나 스승께서 제시한 길을 따라가서 해탈의 자유를 얻어야 합니다.
사람은 자신의 지혜의 눈을 통해서만 자기 자신을 알 수 있으며,
자기 외에 다른 사람들의 눈을 통해서는 알 수 없는 것입니다.
이미 자기가 '라마'라는 사람인데 
다시 자기가 '라마'인 것을 알기 위해 거울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까?

 

 

21.

Is it necessary for one who longs for release
to inquire into the nature of categories(tattvas)?

해탈의 자유를 갈망하는 사람들에게
형이상학적 분야를 구분하여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 꼭 필요한가요?

 

Just as one who wants to throw away garbage has no need to analyse it
and see what it is, so one who wants to know the Self has no need
to count the number of categories or inquire into their characteristics;
what he has to do is
to reject altogether the categories that hide the Self.
The world should be considered like a dream.

쓰레기를 내다 버리는 사람이 그 쓰레기를 낱낱이 살펴보면서
그것이 무엇인지 알려고 할 필요가 없듯이,
'진정한 나'를 알려고 하는 사람은 그 부문들의 개수를 헤아리거나
그 부문들의 특성을 탐구할 필요가 없으며, 그가 해야 할 일은
'진정한 나'를 가리는 부문들을 모두 받아들이지 않는 것입니다.
이 세상(현상계)을 하나의 꿈과 같은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역주)

부문(tattvas) : 地, 水, 火, 風, 空 같은 물질적 실체와
시간, 공간, 자아, 마음 같은 비물질적 실체 등 철학적 범주

 

 

22.

Is there no different between waking and dream?

깨어있는 것과 꿈 사이에 아무런 차이가 없는 것입니까?

 

Waking is long and a dream short; other than this there is no difference.
Just as waking happenings seem real while awake,
so do those in a dream while dreaming.
In dream the mind takes on another body.
In both waking and dream states thoughts,
names and forms occur simultaneously.

깨어있는 것은 길고 꿈은 짧습니다.
이것 외에는 그 둘 사이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습니다.
깨어있는 동안 일어나는 일들이 깨어있는 동안에 실재하는 것처럼 보이듯이,
꿈속에서 일어나는 일들 또한 꿈을 꾸고 있는 동안에는 역시 그러합니다.
꿈속에서는 마음이 다른 몸을 갖습니다.
그리고 깨어있는 상태나 꿈을 꾸는 상태 그 둘 속 모두에서
생각과 이름과 형상들은 동시에 생겨납니다.
 


23.

Is it any use reading books for those who long for release?

해탈의 자유를 갈망하는 사람들이 책을 읽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까?

 

All the texts say
that in order to gain release one should render the mind quiescent;
therefore their conclusive teaching is
that the mind should be rendered quiescent;
once this has been understood there is no need for endless reading.
In order to quieten the mind one has only to inquire within oneself
what one's Self is; how could this search be done in books?
One should know one's Self with one's own eye of wisdom.
The Self is within the five sheaths; but books are outside them.
Since the Self has to be inquired into by discarding the five sheaths,
it is futile to search for it in books.
There will come a time
when one will have to forget all that one has learned.

모든 경전들은 사람이 해탈의 자유를 얻으려면 마음을 가라앉혀야 한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그 결론적인 가르침은 마음을 고요하게 가라앉혀야 한다는 것입니다.
한번 이것을 이해하고 나면 끝없이 책을 읽을 필요가 없습니다.
마음을 잠잠하게 하기 위해서는 오직 무엇이 '진정한 나'인지를
자신의 내면에서 탐구해야 할 뿐인데,
이러한 탐구가 어찌 책을 통해서 가능하겠습니까?
누구나 자신 스스로의 지혜의 눈으로 자신의 '진정한 나'를 알아야 합니다.
'진정한 나'는 다섯 가지 환각의 덮개 안에 있습니다.
그러나 책은 그것들의 밖에 있습니다.
그렇게 '진정한 나'는 다섯 가지 환각을 포기함에 의해 탐구되는 것이므로,
책 속에서 그것을 찾는다는 것은 무익하고 헛된 일입니다.
언젠가는 책에서 배운 것들을 모두 다 잊어야만 할 때가 올 것입니다.

 

 

24.

What is happiness?

행복이란 무엇입니까?

 

Happiness is the very nature of the Self;
happiness and the Self are not different.
There is no happiness in any object of the world.
We imagine through our ignorance that we derive happiness from objects.

행복은 바로 진정한 나의 성품입니다.
행복과 진정한 나는 다르지 않습니다.
이 세상(현상계)의 어떤 대상 속에서도 행복은 발견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무지로 인해 우리가 어떤 대상으로부터 행복을 얻는다고 생각합니다.

 

When the mind goes out, it experience misery.
In truth, when its desires are fulfilled, it returns to its own place
and enjoys the happiness that is the Self.
Similarly, in the states of sleep, samadhi and fainting,
and when the object desired is obtained or the object disliked is removed,
the mind becomes inward-turned, and enjoys pure Self-Happiness.

마음이 밖으로 향하였을 때, 그것이 경험하는 것은 불행입니다.
마음의 욕망이 충족되었다는 것도 사실을 알고 보면
그것은 마음이 잠시 자기 본래의 자리로 돌아가
'진정한 나'로써의 행복을 즐기고 있는 것일 뿐입니다.
마찬가지로 깊은 잠이나 삼매 상태, 혼수 상태 등의 경우나,
바라는 대상을 얻었거나 싫어하는 대상이 없어졌을 때,
마음은 안으로 방향을 틀게 되고, 순수한 '진정한 나'인 행복을 즐깁니다.

 

Thus the mind moves
without rest alternately going out of the Self and returning to it.
Under the tree the shade is pleasant; out in the open the heat is scorching.
A person who has been going about in the sun feels cool when he reaches the shade.
Someone who keeps on going from the shade into the sun
and then back into the shade is a fool.
A wise man stays permanently in the shade.
Similarly, the mind of the one who knows the truth does not leave Brahman.

이처럼 마음은 진정한 나 밖으로 나왔다가
또 안으로 들어가기를 반복하면서 쉬지 않고 움직이는 것입니다.
나무 그늘 아래는 시원하고 그늘 밖의 햇볕은 뜨겁습니다.
뙤약볕 아래에 있던 사람이 그늘로 들어오면 시원함을 느낍니다.
그런데 끊임없이 그늘에서 뙤약볕으로 나왔다가
다시 그늘로 들어가기를 계속하는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이라 하겠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현명한 사람은 늘 그늘 아래에 머무릅니다.
마찬가지로 진리를 아는 사람의 마음은 신(Brahman)을 떠나지 않습니다.

 

The mind of the ignorant, on the contrary,
revolves in the world, feeling miserable,
and for a little time returns to Brahman to experience happiness.
In fact, what is called the world is only thought.
When the world disappears, i.e,
when there is no thought, the mind experiences happiness;
and when the world appears, it goes through misery.

반면에, 무지한 사람의 마음은 이 세상(현상계) 속에서 맴돌면서
불행을 느끼다가, 어쩌다 잠시 신에게로 돌아와 행복을 경험할 뿐입니다.
사실 우리가 이 세상(현상계)이라고 부르는 것은
단지 마음의 투사물인 생각에 지나지 않는 것입니다.
이 세상(현상계)이 사라질 때, 즉 아무런 생각이 없을 때,
마음은 행복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며,
그리고 이 세상(현상계)이 나타나면, 마음은 불행 속에 있게 되는 것입니다.

 

 

25.

What is wisdom-insight (jnana-drsti:知見)?

무엇이 지혜를 통찰하는 힘입니까?

 

Remaining quiet is what is called wisdom-insight.
To remain quiet is to resolve the mind in the Self.
Telepathy, knowing past, present and future happening
and clairvoyance do not constitute wisdom-insight.

고요하게 머무르는 것이 지혜을 통찰하는 힘인 것입니다.
고요히 머무른다는 것은 마음을 '진정한 나'에 합일시키는 것입니다.
텔레파시나 과거, 현재, 미래의 일을 아는 것,
그리고 투시력 같은 것들은 지혜을 통찰하는 힘에 속하지 않습니다.

 

 

26.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desirelessness and wisdom?

지혜와 욕심을 내지 않는 것과의 관계는 어떤 것입니까?

 

Desirelessness is wisdom.
The two are not different; they are the same.
Desirelessness is refraining from turning the mind towards any object.
Wisdom means the appearance of no object.
In other words, not seeking what is other than the Self
is detachment or desirelessness; not leaving the Self is wisdom.

욕심을 내지 않는 것이 지혜입니다. 이 둘은 다르지 않습니다.
욕심내지 않음은 마음이 어떤 대상으로 향하는 것을 그만두게 합니다.
그리고 지혜라는 것은 어떤 대상도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합니다.
다르게 말하자면, '진정한 나' 아닌 것을 추구하지 않는 것이
집착하지 않음 또는 욕심을 내지 않음인 것이며,
'진정한 나'를 언제나 떠나지 않는 것이 지혜인 것입니다.

 

 

27.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inquiry and meditation?

탐구와 명상의 다른 점은 무엇입니까?

 

Inquiry consists in retaining the mind in the Self.
Meditation consists in thinking that one's self is Brahman,
existence-consciousness-bliss.

마음을 '진정한 나' 안에 붙들어 두는 것을 탐구라 합니다.
그리고 명상은 자기 자신이,
존재 - 의식 - 더 없는 행복인 신 그 자체라고 관조하는 것이며,
그 상태 속에 머무르는 것입니다.

 

 

28.

What is release?

진정한 자유라는 해탈이란 무엇입니까?

 

Inquiring into the nature of one's self
that is in bondage, and realing one's true nature is release.

속박되어 있는 자기 자신의 내면의 성품을 탐구하여
자신의 참된 성품을 깨닫는 것이 진정한 자유인 해탈입니다.

 

 

영어원문 사이트

http://www.ramana-maharshi.org/ashram_frameset.htm

 

 

THE END

 

출처 : 네이버 블로그 " 如如 (Onbeing) "

http://blog.naver.com/sofour

출처 : 나에게로 떠나는 여행
글쓴이 : 이카루스 원글보기
메모 :

'선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본수능엄간행서문(고암스님)  (0) 2007.07.02
草依禪師 偈頌  (0) 2007.06.15
懶翁禪師 偈頌  (0) 2007.06.14
_()_  (0) 2007.05.06
성안내는 그얼굴  (0) 2007.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