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355

금목서 향기 향기에 끌려 따라가 봤더니, 아!  글쎄요금목서가 활짝 피어 길가는 나그네를 붙잡지 뭡니까!  목서는 4가지로 알고 있는데요, 은목서와 또 우리나라 목서가 있는데 은목서보다 금목서 향기가 더 많이나요, 은목서랑 금목서는 중국에서 건너 왔는데요, 요즘 향기 넘넘 많이 나요 고운   향기 그 누가 마다하리오.  [금목서]남중국 원산으로 목서의 변종이며, 은목서에 비해 거치가 작거나 없으며, 가을에 피는 꽃이 금색(등황색)으로 피고은목서보다 더 향기가 진하다. [은목서]상록활엽관엽이며, 원산지는 중국이다.자연 수형이 아름답고 꽃의 향이 좋다. 정원이나 학교, 공원과 병원등 조경으로 많이 심으며목서에는 은목서, 금목서, 구골목서(구골나무), 박달목서등 네가지 종류가 있다. [구골목서]남부해안지방에 심고있는 상록.. 2023. 10. 15.
나를 깨닫게 하는 글 " 학문"(學文)은 배우고 익히면 될 것이나, "연륜"(年輪)은 반드시 '밥그릇'을 비워내야 한다. 그러기에 나이는 거저먹는 것이 아니지요. 노년의 아름다움은 "성숙"(成熟)이다. "성숙"은 (成熟) "깨달음"이요, "깨달음"엔 "지혜"를 만나는 길이다. 손이 커도 베풀 줄 모른다면 미덕의 수치요, 발이 넓어도 머무를곳 없다면 부덕(不德)의 소치라는 것을, "지식"(知識)이 겸손을 모르면 "무식"(無識)만 못하고, "높음"이 "낮춤"을 모르면 존경을 받기 어렵다는 것을, 세상이 나를 힘들게 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나로 하여 무거운 것임을, 세월이 나를 쓸쓸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나로 하여 외로운 것임을, 사람의 멋이란? 인생의 맛이란? 깨닫지 않고는 느낄 수 없는 것! 좋은 일만 있기를 기원합니다. 2023. 10. 14.
한 마음 고쳐 먹으면 죄도 내가 만들고, 복도 내가 만든다. 내가 만든 죗값으로, 지옥으로 가는 길도 내가 만들고 복을 지어 극락으로 가는 길도 내가 만든다. 고개를 들어 사방을 돌아보라, 내가 미워할 사람이 어디 있는고 내가 좋아할 사람이 어디 있는고 내 마음 한 번 고쳐 먹으면, 모두가 이웃이고 보살인 것을! ♣ 2023. 10. 13.
제27회 산청 메뚜기쌀 축제 풍성한 가을들녘에서 마음껏 웃고 마음껏 즐거운, 제 27회 산청 메뚜기쌀 축제가 琴浦林에서 거행되었답니다. 오진 10시 옛 공설운동장 1번 출구앞에서 주부대학 동창들 40명이 모여 산청으로 갔는데요, 기름진 옥토에서 노랗게 잘 키운 벼농사를 보니 흐뭇했답니다. 축제의 한마당 함께 보실까요, 메뚜기쌀이란 말은 왜 생겨났을까요? 1, 농약을 살포안해도 쌀이 훌륭하게 잘 영근다. 2, 공기도 좋고 물이 좋아서 요즘 보기드문 메뚜기가 참 많다. 3, 메뚜기가 많아서 메뚜기쌀이라 이름이 붙혔다. 4, 이러므로 산청 메뚜기쌀은 맛밥이 일품이다. (오늘 먹어봤음) (이쯤이면 산청 메뚜기쌀 慧明花 홍보해두 부끄럽진 않겠쭁 ㅎ) 장사익가수님의 노랫말 / 찔레꽃이 씌여있는 돌입니다 여기 내천을 따라 한쪽으론 찔레꽃나무가 .. 2023. 1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