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시225

전도몽상 (顚倒夢想) 전도몽상 (顚倒夢想) 사람을 위해서 돈이 있는데 돈에 너무 집착하니 돈의 노예가 됩니다. 몸을 보호하기 위해 옷을 입는데 너무 좋은 옷을 입으니 내가 옷을 보호하게 됩니다. 사람이 살려고 집이 있는데, 집이 너무 좋고 집안에 너무 비싼 게 많으니 사람이 집을 지키는 개가 됩니다. 이런걸 ' 전도몽상 (顚倒夢想)' 이라고 합니다. 자기도 모르게 어느 순간 거꾸로 되는 것입니다. 인생에 너무 많은 의미를 부여 하니까 의미의 노예가 되고 행복하지 못한 겁니다. 그러니 마음을 내려 놓고 편하고 가볍게 지내세요. __법륜스님__ ******************** 전도는 모든 사물을 바르게 보지 못하고 거꾸로 보는 것, 몽상은 헛된 꿈을 꾸고 있으면서도 그것이 꿈인 줄을 모르고 착각하고 있는 것, 2020. 8. 26.
금강경 핵심 요약 내용 바르고 평등한 깨달음을 주신 님을 존경합니다 욕망을 버리고 편온하고 행복한 삶을 살겠습니다 나에게 나쁜 마음이 없기를 나에게 사랑의 마음이 충만하기를 나에게 영민의 마음이 가득하기를 사람들이 서로 질투하지 않기를 사람들이 서로 사악한 뜻을 품지 않기를 서로 인정하고 존중하며 화목하게 살기를 우리가 서로 만났다 헤어짐을 반복하듯이 모든것은 서로 뭉쳤다 풀어지는 것 그 실체없는 만남에 어찌 집착을 하리오 잠시도 머물지 않고 변화하는 우리의 삶을 잘 관찰하여 " 나 "라는 실체가 없다는 것을.. 깨닫고 평온하고 행복한 삶을 살고저. __모셔온 글입니다__ 2020. 8. 8.
반 석 ◀ 반 석 ▶ 참기 어려움을 참는 것이 진실한 참음이요, 누구나 참을 수 있는 것을 참는 것은 일상의 참음이다. 자기보다 약한 이의 허물을 기꺼이 용서하고, 부귀와 영화 속에서 겸손하고 절제하라. 참을 수 없는 것을 참는 것이 수행의 덕이니 원망을 원망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성내는 사람 속에서 마음을 고요히 하여 남들이 모두 악행 한다고 가담하지 말라. 강한 자 앞에서 참는 것은 두렵기 때문이고, 자기와 같은 사람 앞에서 참는 것은 싸우기 싫어서며, 자기보다 못한 사람 앞에서 참는 것이 진정한 참음이다. 욕설과 헐뜯음을 못 참는 것은 어리석음이니 돌가루를 두 눈에 넣은 것과 같고, 욕설과 비방을 잘 참음은 지혜로움이니 코끼리 등위를 화려하게 꾸밈과 같다. 욕설과 비방으로 지혜로운 이를 어찌하지 못함은 큰.. 2020. 7. 2.
마음 쓰는 일 법구경 첫머리에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 모든것은 마음의 근본이다 마음에서 나와 마음으로 이루어진다 " 나쁜 마음을 가지고 말을 하거나 행동을 하면 괴로움이 그를 따른다 수레바퀴가 소의 발자국을 따르듯이 가령 우리가 생각이 뒤틀려서 가시돋힌 말을 친구에게 던졌다고 상상해 보십시요 그것이 친구에게 닿기 전에 내마음에 가시가 박힙니다 마음을 잘 쓰는 것은 사람답게 살기위한 기본적인 조건입니다 맑고 순수한 마음으로 말하거나 행동하면 즐거움이 그를 다른다 마치 그림자가 그 실체를 따르듯이 이 역시 법구경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마음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내 삶이 달라집니다 마음을 냉혹하게 매정하게 쓸 수고 있고 봄바람처럼 훈훈하고 너그럽게 쓸 수도 있습니다 어떤 마음이 참마음인가는 우리 각자가 느끼며 압니다 마음.. 2020.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