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편 조사어록
1장 마음 닦는 법
불타는 집[普照ㆍ修心訣]
삼계(三界)의 뜨거운 번뇌가 마치 불타는 집과 같은데, 어째서
거기 머물러 그 긴 고통을 달게 받을 것인가. 윤회를 면하려면부
처를 찾아야 한다. 부처는 곧 이 마음인데, 마음을 어찌 먼 데서
찾으랴. 마음은 이 몸을 떠나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육신은 거
짓이어서 생(生)이 있고 멸(滅)이 있지만, 참마음은 허공과 같아
서 끊이지도 않고 변하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 뼈와 살은 무너
지고 흩어져 흙으로 돌아가고 바람으로 돌아가지만 한 물건은 신
령스러워 하늘을 덮고 땅을 덮는다.」 고 한 것이다.
슬프다! 요즘 사람들은 어리석어서 자기 마음이 참 부처인 줄
알지 못하고 자기 성품이 참 법인 줄을 모르고 있다. 법을 멀리
성인들에게서만 구하려 하고, 부처를 찾고자 하면서도 자기 마음
을 살피지 않는다. 만약 「마음 밖에 부처가 있고, 성품 밖에 법
이 있다 .」 고 굳게 고집하여 불도를 구한다면, 이와 같은 사람
은 비록 티끌처럼 많은 세월이 지나도록 몸을 태우고 뼈를 두드
려 골수를 내며, 피를 뽑아 경전을 쓰고 밤낮으로 눕지 않으며,
하루 한 끼만 먹고 팔만대장경을 줄줄 외며 온갖 고행을 닦는다
할지라도, 모래로 밥을 짓는 것과 같아서 보람도 없이 수고롭기
만 할 것이다. 자기 마음을 알면 수많은 법문(法門)과 한량없는
진리를 구하지 않아도 저절로 얻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모든 중생을 두루 살펴보
니 여래의 지혜와 덕을 갖추고 있다.」 하시고,「모든 중생의 갖
가지 허망된 생각이 다 여래의 원각묘심(圓覺妙心)에서 일어난다
.」 고 하셨으니, 이 마음을 떠나 부처를 이룰 수 없음을 알아야
한다. 과거의 모든 부처님들도 이 마음을 밝힌 분이며, 현재의모
든 성현들도 이 마음을 닦은 분이며, 미래의 배울 사람들도 또한
이 법을 의지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수행하는 사람들은 결코
밖에서 구하지 말 것이다. 마음의 바탕은 물듦이 없어서 본래부
터 스스로 원만히 이루어진 것이니, 그릇된 인연을 떠나면 곧 의
젓한 부처이다.
*普照 :(1158 ~ 1210) 법명은 지눌(知訥), 호는 목우자(牧牛子)
순천 송광사에서 11년간머물면서 수선사(修禪社)를 마련
정혜(定慧)로써 제자들을 가르치다. 저서 <절요><수심결>
<진심직설>등.
*삼계(三界): 생사에 유전하는 미혹한 중생의 세계를 나누어 욕
망의 세계를 욕계(欲界), 물질적인 현상계를 색계(色界)
정신적인 세계를 무색계(無色界)라 함.
*원각묘심(圓覺妙心): 원만한 깨달음의 경지인 청정한 본심.
[불교성전/동국역경원 발행]
나무석가모니불 합장_()_
모셔온 자료입니다.
'선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0) | 2018.06.28 |
---|---|
기도 (0) | 2018.06.28 |
기림사의 주련모음 (0) | 2018.03.09 |
마음이 깨끗해야 책을 읽고 옛 것을 배울 수 있다 (0) | 2017.11.07 |
어리섞은 사람/ 우암품 (愚闇品) (0) | 2017.11.06 |